전재민의 밴쿠버 사는 이야기

[스크랩] 추세선 이해

테리(전재민) 2012. 12. 25. 09:53



초보자를 위하여  HTS 에서 퍼 왔습니다,

기초 이론이니  초보분들은  참고하십시오,

대신 시스템에서 읽으면  그냥 지나치는데  게시판에 정리하여 읽으면 공부가 됩니다,

추세(trend)란 가장 단순한 의미로 시장의 진행방향(direction of market)을 말하며, 따라서, "추세 분석" 이란 주가의 "진행방향"을 분석하는 작업이다.
추세선
  추세 분류
  상승추세
 
a. 연속하는 고점(①-②)들과 연속하는 저점(③-④)들이 높아진다
b. 수급측면 - 매수세력이 강하다
  하락추세
 
a. 연속하는 고점(①-②)들과 연속하는 저점(③-④)들이 낮아진다.
b.수급측면- 매도세력이 강하다
  비추세(=횡보국면)
 
a. 연속하는 고점(①-②-③)간의 관계와 저점(④-⑤-⑥)간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으며, 거의 수평등락 과정이 반복되거나 수렴과정이 진행된다.
b. 수급측면 - 매수/매도가 균형을 이룬다.
  추세선 작성하기
  상승추세선 작성하기
  상승하는 연속적인 두개의 저점(場중 저가를 포함) 잇고 , 오른쪽으로 쭉 연장해서, 다음 나오는 세번째 저점에서 지지를 받으면 "상승추세선"으로 판단한다.
  하락추세선 작성하기
  하락하는 연속적인 두개의 고점(場중 고가를 포함)을 잇고, 오른쪽으로 쭉 연장해서, 다음 나오는 세번째 고점에서 저항을 받으면 "하락추세선"으로 판단한다.
 
  장기 / 중기 / 단기 추세 읽는 법
  추세형성기간에 따른 추세 분류
 
분류
추세형성 기간
주추세(Major Trend),場기추세 1년 이상 지속되는 추세우리나라에서는 대세상승,대세하락이라고도 통용됨
중기추세(Intermediate Trend) 1-3개월정도 지속되는 추세
소추세(Minor Trend)/
단기추세(Nearterm Trend)
2-3주 정도 지속되는 추세
 
  추세의 전환 파악하기
  추세전환의 원리
  a. 상승추세에서 직전 고점 저항선을 상향돌파하지 못하게 되면, 하락추세나 횡보국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b. 하락추세에서 직전 저점 지지선을 하향돌파하지 못하게 되면, 상승추세나 횡보국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c. 횡보국면에서는 고점 저항선을 상향돌파하면 상승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저점 지지선을 하향 돌파하게 되면 하락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 위의 그림은 종합주가지수 일간차트를 사용하였으며, 횡보국면을 일정기간 지속하다가 횡보국면을 상향 돌파하면서 상승추세로 전환되었으며 연속되는 고점,저점이 높아지는 상승추세가 진행되었다. 그뒤 직전 고점을 상향 돌파하지 못하는 국면이 발생하였고 직전 저점인 지지선에서 지지를 받는 듯하였으나, 이내 하향 돌파하여 하락추세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추세전환 확인 방법
  a. 종가에서 지지/저항선을 이탈하는 것이, 場중에 이탈하는 것보다 추세전환 가능성이 더 크다.
b. 주가가 일정비율(1%,3%,5%,일반적으로 3% 사용) - 3% 이상 이탈하면 전환이 확인된 것으로 간주한다(3% 원리)
c. 주가가 일정기간(1일,3일,5일 등) 지지, 저항선을 계속해서 벗어나면 추세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
d. 상승 추세전환의 경우,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이탈할 경우 추세전환 가능성이 크고, 하락 추세전환의 경우,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이탈할 경우 추세 전환 가능성이 크다.
 
  <<위의 그림은 종합주가지수 일간 차트를 사용하였으며, 지수는 3%원리에 벗어나지 않는 하락으로 추세 전환이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선 이탈 기간도 3일로 추세 전환으로 확인하기에 힘들다.>>
  주가의 일시적인 되돌림 현상
 
추세전환 과정에서, 추세 이탈 이후 다시 지지/저항선으로 되돌아오는 특성으로서, 늘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단 발생했다면 추세이탈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 증권업 지수가 하락추세(①)에서 상승추세(②)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직전 고점을 상향 돌파(③)하는 추세전환이 발생하고 난 뒤에 다시 직전 고점까지 되밀리는 "일시적인 되돌림 현상"(④)이 발생했다. 그뒤 직전 고점 지지선에서 지지를 받고 상승추세를 이어가(⑤) 추세전환을 확인할수 있다.>>
  팬의 원리, 부채꼴의 원리(Fan Principle)
 
  << 주가의 추세전환은 급하게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점진적인 추세변화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추세를 이탈하는 파동이 직전 저점에서 지지를 받고 되돌림 현상이 발생하나 추세선 내에 재진입하지 못하는 되돌림현상이 두번(①②.) 반복되면서 추세전환 되는 경우이다. 가).나).다) : 상승/하락 추세선 ①② : 되돌림 현상, ③ : 3개의 상승/하락 Fan을 벗어나면서, 추세전환이 이루어지는 시점 >>
 
  << 위의 그림은 팬원리를 활용한 보락(02760) 주간차트이다. >>
   
  추세의 강도 파악하기
  *주가추세의 형성과 마찬가지로, 현재 가파른 추세선인 경우 주가가 추세선을 이탈해서 추세선의 의미를 약화시킬수 있으며, 완만한 기울기의 추세선인 경우는 좀더 기울기가 큰 추세선으로 작성될 가능성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45도 추세선이 기술적분석에서 가장 큰 의미를 두고 있으며, 45도 보다 큰 경우 가파른 추세선으로, 45도 보다 작은 경우 완만한 추세선으로 간주한다.
 

출처 : 희망의미래로 주식연구소
글쓴이 : 빛으로그린그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