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없이 냄새·세균까지 잡는다
<3> 워터프리코리아 물 안쓰는 소변기
2006-11-24 오후 2:27:59 게재
여과기로 배수구 냄새 완벽차단 … 급수배관 자동센서 필요없어 경제적
“물을 적게 쓰는 소변기가 아닙니다. 물을 아예 안 쓰는 소변기입니다.”
워터프리코리아 이창원 기획팀장의 말이다.
이 팀장은 “워터프리 소변기의 가장 큰 장점은 냄새가 나지 않고 위생적으로 깨끗하다는 것”이라며 “물을 쓰지 않는 절수기능도 있지만 이는 부수적인 효과”라고 강조한다.
지난 수십년 간 남자 화장실의 소변기는 일일이 손으로 물을 내리거나 전기 센서로 세척기능이 작동하는 방식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런 장치가 있어도 소변 중 물이 내려가면서 밑에서 올라오는 악취가 불쾌한 경우가 다반사다.
그런데 워터프리 소변기는 물을 아예 쓰지 않는다. 소변을 보고 물을 내리지 않는데 냄새가 나지 않는다. 소변기에 누렇게 끼는 물때도 생기지 않는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소변 속 미량 고형물질까지 걸러준다 = 소변기 냄새의 원인은 크게 3가지다.
가장 큰 원인은 배수관을 역류해서 올라오는 악취이고, 두 번째는 습기로 인한 박테리아 번식, 세 번째는 요석과 물때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성 악취다.
워터프리 소변기는 물을 쓰지 않고 소변기 하단부에 위치한 여과기(카트리지)를 통해 배수관 역류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세 가지 악취 원인을 모두 해결, 지난 9월 4일 환경마크 인증을 받았다.
“소변기 냄새 중 제일 큰 원인은 배수관 역류 문제입니다. 카트리지가 역류하는 냄새를 막아주니까 첫 번째 문제는 완벽하게 해결되고, 물을 전혀 쓰지 않기 때문에 습기나 요석, 물때 문제도 저절로 사라집니다.”
이창원 팀장의 설명이다.
재활용이 가능한 열가소성 ABS 수지로 만들어진 여과기는 물(소변)보다 가벼운 특수 밀폐용액으로 채워져 있는데, 이 밀폐용액이 배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과기 안으로 내려온 소변은 밀폐용액 아래 고였다가 더 많은 소변이 내려오면 자연압력으로 배출된다.
배출구는 바닥보다 10cm 정도 높게 설계돼 있어 소변 안에 3% 가량 함유된 염분과 침전물 등은 카트리지 안에 남고 거의 순수한 액체 성분만 배수구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수세식 소변기처럼 요석 때문에 발생하는 배수관 막힘 현상도 없다는 게 이 제품의 특징이다.
청소도 간편하다. 물을 뿌리고 강산성 세제로 닦아내는 게 아니라 휴지나 부드러운 걸레로 닦아내고 중성세제를 뿌려주면 된다.
◆정부 과천청사 등 공공장소 중심으로 활발한 보급 = 기존 수세식 소변기에 비해 경제성도 뛰어나다.
워터프리 소변기의 대당 가격은 변기 모델에 따라 15만원에서 20만원선. 기존의 수세식 소변기의 경우 소변기는 8만원에서 12만원 선이지만 여기에 자동세척기(센서 포함) 가격 10만원에서 12만원이 추가된다.
시공 단가도 싸다. 기존 소변기를 설치할 경우 화장실 1곳당 30만~40만원 정도의 급수배관 설치비용이 필요하지만 워터프리 소변기는 이 비용이 전혀 들지 않는다.
워터프리 소변기를 7000회에서 1만회 사용한 후 여과기(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비용은 3만 5000원. 같은 조건에서 비교하면 1회에 4~5리터의 세척용수가 들어가는 기존 소변기는 물값만 7만원 정도가 든다.
워터프리코리아 이지영 대표는 “최근 정부과천청사 안내동 시범설치 후 건교부에서 이 소변기를 설치해달라는 연락이 왔다”며 “1인당 물 사용량이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인 상황에서 보다 많은 공공건물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환경마크 제품은
환경표지제도는 동일 용도의 제품 중 생산 및 소비과정에서 오염을 상대적으로 적게 일으키거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에 환경표지를 부여하는 제도.
제품의 정확한 환경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기업으로 하여금 친환경제품을 개발·생산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시작됐다.
1979년 독일에서 처음 시행된 이 제도는 현재 유럽연합(EU), 북유럽, 캐나다, 미국, 일본 등 40여개 국가에서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2년 4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환경표지제도의 운영은 각 나라의 문화·경제·사회여건에 따라 정부(EU, 체코), 민간단체(미국, 스웨덴) 또는 정부와 민간협조(독일, 일본)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부와 친환경상품진흥원이 담당하고 있다.
환경마크 인증은 제품의 생산과 유통, 소비, 폐기의 전 과정을 모두 평가, 환경성이 높다는 결론이 나와야 받을 수 있다. 환경마크가 붙어 있다면 그 제품의 신뢰도와 환경성에 대해 국가가 공인했다고 보면 된다.
소변기류
환경마크 인증기준
- 소변기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이거나, 사용수량 2.0 L 이하로 정량 지수가 가능한 구조이어야 한다.
- 소변기는 배수구 하부에 트랩이 내장되어 있거나 트랩을 본체와 한 세트로 공급하는 등 배수로로부터 역류되는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냄새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 도기질 소변기 본체의 품질(겉모양, 품질, 소지의 질) 및 배출 성능은 KS L1551(위생도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 겉모양은 바깥으로 드러나는 표면이 매끄러워야 하며, 뚜렷이 나타나는 변형, 흠, 결손, 잔금 등이 없어야 한다.
- 내오염성은 ‘오염 회복률’이 85 % 이상이어야 한다.
/남준기 기자 jkna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인터뷰-워터프리코리아 이지영 대표
“초등학교부터 우선보급을”
2006-11-24 오후 2:29:59 게재
“보통 소변기 냄새를 소변 냄새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소변 자체의 냄새가 심하다면 우리 어머니들은 어떻게 머리맡에 요강을 두고 살았겠습니까.”
이지영 대표는 “소변기 냄새는 소변이 물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발생하는 암모니아 냄새”라며 “오히려 물을 안 쓰는 소변기가 이런 악취를 막아준다”고 강조한다.
- 그래도 물로 씻어내지 않으면 잔뇨 등이 남아 냄새가 나지 않는가.
거듭 강조하지만 소변 자체는 악취가 없다. 소변 안에는 요산, 나트륨이온, 칼슘이온, 요소 등이 미량 포함돼 있지만 소변 상태에서는 냄새가 거의 안 난다. 배출 후 물이나 산소와 화학반응이 일어나면 기체 상태의 암모니아가 발생하는데, 이 암모니아가 냄새의 주범이다.
- 물로 씻는 소변기에도 누런 물때가 끼는데
물이 가장 큰 원인이다. 물론 물의 세척력이 큰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물과 소변이 만나면 경화 현상이 발생해 물때와 요석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걸 없애려고 산성세제와 거친 수세미로 변기를 닦는데, 이렇게 할수록 변기 코팅이 벗겨지고 상황은 더 악화된다.
- 워터프리 소변기는 누런 물때가 전혀 끼지 않나
계속 청소하지 않으면 조금씩 남는 소변 성분 때문에 물때가 낀다. 그러나 청소할 때 부드러운 걸레나 휴지로 닦고 변기의 코팅기능을 강화해주는 중성세제를 조금씩 뿌려주면 물때가 끼지 않는다.
- 여과기(카트리지) 교환주기를 소비자들이 알 수 있나.
카트리지 안에 소변에서 걸러진 고형성분이 꽉 차면 파란색 밀폐용액이 위로 뜨게 된다. 이때 카트리지를 갈아주면 된다. 교체시기가 지나면 냄새도 나고 소변이 정체되기도 한다.
- 지금까지 어떤 장소에 주로 보급되고 있나.
과천 정부청사, 서울시청, 수원시청 등 관공서, 지하철, 공원 등 전국적으로 약 4000여개가 설치된 상태다. 한화건설은 향후 자체 건물에는 전량 이 소변기를 설치키로 했다. 위생적으로 뛰어난 제품인만큼, 초등학교와 병원 등 개인위생이 중요한 시설물에 우선적으로 보급할 생각을 갖고 있다.
/글·사진 남준기 기자 jkna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왜 waterfree 소변기 시스템인가?
“우리가 물을 운반하는데는 물은 필요가 없습니다”.
소변은 96%가 물이므로 waterfree 소변기의 비투과성 표면 위에 묻지 않고 소변기안의 여과기를 통해서 흘러 나갑니다. ‘여과기안의 생화학적으로 분해되는 밀폐액(sealant liquid)’은 물위 두터운 막을 만들어 소변을 통과시키고 냄새가 나는 것을 막아줍니다.
이 시스템의 장점은?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물값이 들지 않고 하수 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 플러쉬 밸브나 센서가 없기 때문에 유지 비용도 줄어듭니다. 처음부터 waterfree 소변기를 설치하면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등 설치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물을 사용하지 않는데도 물을 사용하는 소변기보다 더 위생적일 수 있나?
UCLA의 환경공학부는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연구팀은 전통적인 물을 사용하는 소변기와 물을 사용하지 않는 Falcon 소변기 내부 표면의 유기체를 검사했습니다. 검사결과 1㎠당 유기체의 수가 물을 사용하는 전통적 소변기보다 Falcon의 물을 사용하지 않는 소변기의 유기체가 훨씬 적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물이 박테리아가 자라는 토양을 제공하며 Falcon 시스템은 박테리아가 자라는 것을 막는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물이 없으면 박테리아가 자랄 수 없으며 보다 위생적일 수 있습니다. 이 결론은 독일의 정부기구인 LGA에 의해 행해진 연구에 의해서도 입증되었습니다.
연구진은 학교, 병원,역 등의 많은 시설물에 대해 전통적 소변기와 Falcon 시스템을 각각 놓고 검사를 했습니다. 그 결과 전통적 소변기보다 Falcon 시스템이 박테리아가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waterfree 소변기에서 불쾌한 냄새는 안 나는가?
물이 없으면 물과 소변 사이의 화학적인 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UCLA의 연구의 하나로서 waterfree 소변기내의 공기 샘플과 전통적 소변기내의 공기 샘플에 대한 비교 결과, waterfree 소변기가 냄새가 없으며 전통적 소변기(물 세척)과 비교하여 더 낮은 암모니아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변기에 소변 자국 등이 누렇게 남지 않는가?
소변의 성분은, 요산, 나트륨이온, 캍륨이온, 염소이온, 그리고 요소 등입니다.
배출 직후에는 냄새가 나지 않지만 소변이 물과 섞이면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소변이 분해되어 암모니아가 발생해 악취가 나게 됩니다. 거기에 요석과 물때가 생깁니다.
요석은 세균에 의한 칼슘이온이 소변 안에 존재하는 인산과 공기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인산 칼슘과 탄산칼슘이 되는데, 이 인산 칼슘과 탄산 칼슘이 요석입니다. 악취, 요석, 물때 등은 모두 물로 인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물을 사용하지 않는 waterfree 소변기는 이러한 모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합니다.
밀폐액(sealant liquid)에서 어떤 현상이 생기며 위험하지 않는가?
UCLA 와 LGA의 연구 결과, 밀폐액(sealant liquid)은 완전히 생화학적으로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연방 환경청은 밀폐액의 WGK(Water risk class)가 0 임을 입증했습니다. 이는 이 용액을 위험 없이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ATA(국제항공운수기구) 조차도 밀폐액은 육상과 수상, 항공운송에 안전하다고 인정했습니다.
여과기의 교체시기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소변이 빠져나가는 속도가 느려지면 교체해야 합니다. 즉, 소변이 잘 흘러내려가지 않을 경우, 소변이 완전히 흘러내려가지 않을 경우, 밀폐액의 흔적이 여과기에서 보일 경우 교체해야 합니다.
얼마나 자주 여과기는 교체해야 하나?
7,000번 사용시 마다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많이 사용할 경우(하루 175회 이상) 매 3~6주 사이에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중간 정도 사용의 경우(하루 75~175회)에는 매 1.5~3개월 사이에 교체해야 합니다.
그 이하 사용시는 7,000번을 사용한 적정한 시기에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여과기(Cartridge)는 어떻게 버리는가?
여과기는 재생 가능한 ABS 수지이며 관련 관청의 규칙에 따라 처리하면 됩니다.
소변기의 청소와 유지는?
청소용 스폰지나 천 등 통상적인 다용도 비감염 청소 용구를 사용하면 됩니다.
담배꽁초등이 소변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소변기의 장점은 투입구가 작아서 담배 꽁초등이 들어가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꽁초가 여과기 위에 남아있기 때문에 청소원이 쉽게 제거 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그물이나 망을 씌울 수 도 있습니다.
waterfree 소변기는 경수 침전물을 어떻게 처리하는가?
전통적 소변기는 파이프 안에 칼슘과 같은 경수 침전물을 만들기 때문에 그 제거를 위해 자주 파이프를 청소해야 합니다. Falcon 소변기는 두 가지 이유로 이를 획기적으로 줄여줍니다.
첫째, 물이 소변기 파이프 안으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경수 침전물이 생길 이유가 없습니다.
둘째, 소변으로부터 생기는 약간의 침전물은 기계적 장치의 도움 없이 물만으로 제거되는 연성 침전물입니다.
만약 소변이 역류한다면?
소변기는 물이 잘 흘러가고 깨끗해야 합니다. 제공된 도구를 사용해 용기에서 여과기를 끄집어 낼 수 있습니다. 물을 아래로 흘러보내, 분출물을 씻어내고 여과기는 물로 씻어낸 다음 다시 장착하면 즉시 사용하게 됩니다.
희석되지 않은 소변이 배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가?
UCLA 연구팀은 희석되지 않은 소변의 영향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Phillip Schweitzer 박사는 그의 저서 Corrosion(부식) Technology에서 화장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어떤 물질이나 표면에 waterfree 소변기의 사용으로 인하여 더 빨리 부식되는 경우는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새로이 설치를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waterfree 소변기를 사용하면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가 필요 없으며 그 결과 설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고 , 여타의 과정은 기존의 소변기 설치와 같습니다.
기존 소변기의 교체는 어떻게 하는가?
매우 간단합니다. 기존 물 공급파이프를 막고, 나머지는 기존의 소변기처럼 벽에 설치하면 됩니다. 그리고 기존의 소변이 흘러내려가는 하수 파이프를 연결시키면 됩니다.
제품의 질은 신뢰 할 수 있는가?
Falcon Waterfree 제품은 우수 몰딩기법에 따라 정밀한 재료 선정과정을 거치는데 이 기법은 우주선의 부품이나 의료용 기기와 같은 초정밀을 요구하는 제품의 제작에 적용되는 기법입니다.
또한, 제작과정은 생태학적으로 양심적인 방법으로 진행되며 조립 과정에서는 화학적 폐기물이 없고 어떠한 화학적 첨가물이나 접착제등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부품사이의 용접이나 접착은 모두 초음파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등 환경상의 고려와 제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많은 방법들이 취해집니다. 여기에 더 나아가 독자적인 지능적 품질 관리시스템과 표준화된 통계적 처리통제 방법을 사용하여 무결점 제조 프로그램을 수행 하도록 최선을 다합니다.
모든 핵심부품은 계속적인 품질 향상과 무결점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시각적 및 기능적 수행 검사를 받습니다. 지능적 품질 관리시스템(IQCS)은 ISO9000 품질 기준과 ISO14000 환경기준 등 최고의 국제적 표준에 부합되도록 합니다.
최고의 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노력에 의해 Falcon Waterfree 제품은 신뢰 할 수 있고, 생태학적으로도 건전하다는 것을 보증합니다.
제품에 대한 세계의 인식은 어떤가?
전세계의 많은 고객들이 물 절약에 대한 이 제품의 무한한 능력을 인정하고 있으며, 미국의 많은 물과 관련한 기구들에서는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구매금액의 일부를 환불(rebate)하여 주거나 재정적 특혜를 제공하려 하고 있습니다.
'전재민의 밴쿠버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구가 우는 소리를 누가 들어 보았는가? 실담어(悉曇語)와 대동이(大東夷) (0) | 2014.08.30 |
---|---|
[스크랩] GMO식품의 피해 사례 모음 (0) | 2014.08.15 |
[스크랩] 유쾌한 화장실 프로젝트를 가동해봐요! (0) | 2014.07.29 |
[스크랩] 고'노무현 대통령이 탄핵받은 이유. (0) | 2014.07.12 |
[스크랩] 전쟁의 상처를 안고 자라는 나무들 (0) | 201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