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스크랩] 밴쿠버 연가 출판기념회를 다녀와서.... 밴쿠버 중앙일보 5월26일자 기사.

테리(전재민) 2018. 5. 26. 08:57

 

맑은 영혼과 순수함으로 빚어진 언어

이민의 고달픈 정서, 향수를 표현

 

 

조리사이자, 시인이자, 산악인, 그리고 이 모든 타이틀이 캐나다의 한인 이민자이기에 가능하다는 말을 듣는다면 한인 이민자들이라면 아마 다 공감할 수 있다.

 

새로운 기회를 찾아 고향을 떠나 이역만리 이미을 왔기에, 물도 설고 낮도 선 이국 땅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생업에 전념하게 된다. 그렇게 바쁘게 살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 나면 조금 여유가 생기고 그래서 정신없이 살아온 이민 생활을 곱씹어 보다보면 문득 고국산천이 그립고 그리운 얼굴들이 수없이 뇌리에 와 닿는다.

 

그러면 이제 이민의 고달픔과 고향을 그리며 글로 풀어내는 문학도가 된다. 쓰고 또 쓸수록 더욱 그리워지고 사무치는 마음에 훌쩍 한국으로 떠나보면, 이미 세태는 변하고 고향도 사람도 이제는 한국에서도 찾을 수 없게 된다.

 

밴쿠버에 돌아오면 이제 다시 정을 붙이고 살아가야 할 새로운 터전이자 유행가 가사의 제2의 고향이기에 캐나다의 산천을 둘러보게 된다. 그러면 높고 낮은 산과 맑은 물, 그리고 언제나 고마운 맑은 공기가 사람살만한 곳임을 깨닫게 된다.

 

지난 24일 코퀴틀람 한인타운 근처의 라마다 호텔에서 조리사이자, 시인이자, 산악인인 전재민 시인의 첫 시집 '밴쿠버 연가'의 출판기념식이 있었다.

 

이 자리에는 이민을 와서 조리사인 전 작가와 생활 속에서 함께 희노애락을 했던 지인 홍인경 씨와, 전 작가에게 시와 수필을 가르쳐주며 문학가의 스승이자 동지였던 캐나다 한국문협의 이원배 이사장, 그리고 밴쿠버 주변의 모든 산과 록키까지 캐나다 서부 산악지대를 함께 누볐던 권혁철 한인산우회 회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지인들이 참석해 전 작가의 시집 출판을 축하했다.

 

이 이사장은 축사를 통해 전 작가가 열심히 일하면서도 순수한 마음을 지닌 본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시집이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권 회장은 산 사나이로 상남자 같지만 진솔한 언어와 자연 속에 잘 투영된 정제된 시로 주위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는 언어라고 칭송했다.

 

전 작가는 발간사를 통해 그 동안 살아 온 자신의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들려주며 첫 시집을 낼 수 있었던 것에 대한 소회와 주변 사람들의 도움에 감사를 했다.

 

이미 시집은 한국에서 4월 초부터 교보문고와 YES24 등 인터넷을 통해 판매가 됐다. 전 작가는 교보문고에서는 이미 완판이 됐다며 기대이상의 반응에 기쁨을 감추지 않았다. 그리고 밴쿠버 출판기념회는 선편으로 시집이 오면서 다소 늦게 그리고 장소를 빌리는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전 작가는 경과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렸다.

 

이어 그의 시집 출판을 기념하기 위해 참석자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전 작가 시집의 시를 낭독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전 작가의 시집에 대해 북마스터는 '전재민 시인은 캐나다 벤쿠버에서 살고 있는 교포문인으로서, 첫 시집 [벤쿠버 연가]를 오늘의문학사에서 발간합니다. 이 시집에는 캐나다로 이민하여 겪은 고달픈 정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시인은 서문에서 이렇게 시집 발간의 의미를 밝힙니다. "나는 30여년을 조리사로 일해 오고 있다. 칼에 베이고 오븐에 데이고 수 없이 많은 상처들과 동반자처럼 함께 해왔다. 나의 글이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베이고 데인 마음 상처를 치유하는데 조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천당 아래 999당이라는 밴쿠버에서 조국, 부모님, 친구, 옛 연인을 연모하는 마음으로 글을 썼다." 이 고백을 통하여 독자들은 저자의 삶과 정서를 공유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출판사서평으로 리헌석 문학평론가이자 문학사랑협의회 이사장은 '전재민은 캐나다 교포 시인이다. 그리하여 전재민 시인의 첫 시집 '밴쿠버 연가'에는 한국에서 살 때의 경험과 정서, 캐나다 이민 초기의 삶과 정서, 그리고 현재를 살아가는 사랑과 배려 등이 혼재된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을 발간하면서 시인은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처럼, 자신 있게 내어 놓을 시가 있냐고 묻는 옆지기 말에 대답하지는 못했지만, 그리 되려고 노력하는 마음으로 시작하는, 등단 후 첫 시집을 많은 분들이 공감하였으면 좋겠다.'고 평했다.

또 리 이사장은 '전재민 시인의 정서적 특성일까, 그의 작품들은 다양한 스펙트럼을 형성하고 있다. 몇몇 작품은 단형을 유지하고 있으나, 대부분 긴 시에 생각과 정서를 투영하고 있다. 좁은 생활환경에 갇힌 사람의 시각은 좁을 수밖에 없다는 [아는 만큼], 섬처럼 외롭게 살 수 없다면서 소통을 강조하는 [통해야], 소를 통하여 현대인의 삶을 풍자한 [소], 내리사랑을 절실하게 표현한 [자식을 보며], 현대인의 삶을 진솔하게 담아낸 [아스팔트 위에서]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삶의 다양성을 살려내는 표현의 힘에 독자들은 탄성을 지를 것이라 믿고 기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표영태 기자


출처 : 캐나다 한국문인협회(KWAC)
글쓴이 : 테리(전재민) 원글보기
메모 :